폐가전제품 무상 방문 수거

황성훈 / 기사승인 : 2015-10-28 15:11: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폐가전제품, 환경부 성공적인 정책 시행중

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지난해 9월부터 전국으로 확대한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이 1년 만에 수거실적이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성공적인 정책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의 총 수거실적은 9월 말 기준으로 55만 1,000대(2만 3,849톤)이며, 이는 전년도 9월까지의 수거실적 24만 2,000대(1만 1,083톤) 대비 127%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동안 폐가전제품을 배출한 주민들이 혜택을 받은 배출수수료는 약 33억원이다.

회수된 폐가전제품 2만 3,849톤을 재활용하여 얻은 판매수익, 소각·매립 대체, 천연자원 대체 등에 따른 국가 경제적?환경적 편익은 약 493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은 재활용 확대와 국민의 불편 해소를 통해 국정과제인 ‘자원순환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시작됐으며 대상품목 확대, 홍보 강화, 누리집 주소 개편 등으로 이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제도로 발전하고 있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대상품목은 올해 3월부터 냉장고, 세탁기 등 4개 가전 및 1m 이상인 제품에서 전자레인지 등 중?소형제품 15종까지 확대됐다.

행정자치부에서 올해 5월에 주최한 ‘2015년도 정부 3.0 성공사례 왕중왕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울러, 물류비용이 높아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에서 소외되었던 도서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하여 해당 지자체와 협의하여 올해 4월부터 도서지역의 폐가전제품 무상수거를 단계적으로 실시했다.

무상수거 대상도서는 사람이 사는 섬 중에서 본도와 연륙교 등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폐가전제품 배출량이 많은 5개 시군의 34개 섬을 우선 선정했다.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신안군(흑산 등 10개 섬), 인천 옹진군(백령 등 7개 섬)의 폐가전 248톤(4,987대)을 수거했고 11월 중에 나머지 3개 시군의 폐가전을 수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