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플러스북이 출간한 지역의 시간 표지 |
굿플러스북은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이 위기에 처한 지역을 진단하고 지역주도 특화 성장 방안을 제시한 황태규 교수의 지역혁신성장론 <지역의 시간>을 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문재인 정부는 국가균형발전 비전으로 ‘지역이 강한 나라, 균형 잡힌 대한민국’을 천명했다. 대통령 개헌안에도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지방정부 상호 간 ‘적정한 재정조정을 시행’하는 것을 명문화했다.
국민의 선택만 받는다면 균형발전 차원에서 획기적인 진전이 아닐 수 없다.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컨트롤타워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복원했고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안 의결로 참여정부 이후 추진동력을 상실한 국가균형발전 추진체계를 발전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됐다.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으로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개정>, <혁신도시특별법개정> 등 강력한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한 황태규 교수의 <지역의 시간>은 문재인 정부의 지역균형발전의 밑그림을 어떻게 현장에 적용할 것인가의 고민이 담겨있다. 황태규의 <지역의 시간>은 그가 현장에서 고민하고 실제 실행에 옮긴 경험을 토대로 지역균형발전의 실행 모델을 제시한다.
‘왜 지역이 낙후될 수밖에 없었는가?’라는 질문과 반성으로 시작한 이 책은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 자산과 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묶는 '낙후지역 생존전략에 대한 교과서’다. 한 지역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각 지역의 특화전략을 서술하지만, 이는 타 지역에서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
또한 저자는 지금이 바로 지역균형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적기’라고 단언한다. 지역 소멸을 걱정하며 중앙정부만 바라볼 것이 아니고 스스로의 생존전략을 지금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책에서 제시한 전략들은 모두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문화에 기반을 두고 설명한다. 지역의 자산은 그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부족한 지역자원을 발굴하여 지역주도의 특화 성장으로 나아간다면 우리가 그토록 바라는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갖추는 셈이다. 이 책에서는 한발 더 나가 지역금융과 지역대학의 특화전략, 지역산업의 글로벌 전략까지 폭넓고 깊이 있게 다뤘다.
◇저자 황태규
저자는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으로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개정>, <혁신도시특별법개정> 등 강력한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했다. 새로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총괄하면서 기간교통망의 공공성 강화와 미래 교통산업 발굴을 위해 <교통사각지대 해소방안>, <드론산업발전방안> 등 정부의 교통·SOC정책의 기초를 닦았다.
참여정부 때는 대통령자문기관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정책개발을 담당하기도 했다. 행정자치부 도서개발선정위원회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6차산업지구사업 자문위원, 해양수산부 국가중요어업유산 심의위원 등 각 부처의 정책집행자문을 맡은 바 있으며, 서귀포 감귤정유클러스터 자문위원, 남원허브식품클러스터 자문위원,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이사, 전주유네스코음식창의도시 운영위원회 위원, 장수한우지방공사 이사회 의장, 도시재창조 시민포럼 대표 등 꾸준히 지역 활성화를 위한 현장 활동을 했다. 현재는 우석대학교 호텔항공관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