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령(虛靈)은 마음의 체(體)가 되고 지각(知覺)은 마음의 용(用)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불교 용어의 대표적 일화
[017] 마음의 본체를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가요?-“'지각(知覺)'입니다”
문: 사람의 마음은 가지가지이고 시시때때로 움직이는데, 그 본질적인 요소인 마음의 본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 그 사람의 육체와 마음은 둘인 동시에 하나가 됩니다. 육체가 먼저 손상되면 마음은 떠나가고 마음이 먼저 떠나가면 육체는 병들어 쓰러지게 됩니다. 마치 집이 쓰러지면 사람이 떠나가고 사람이 떠나가면 집이 저절로 무너지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육체는 마음이 머무는 집이 되고 마음은 그 집을 관리하는 주인이 되는 셈입니다.
공자님께서는 사람의 마음이란 “잡으면 존재하고 놓으면 없어지며 출입함이 정해진 때가 없어서 그 근본을 알 수 없다.”1)라고 말씀하셨으며, 유일명(劉一明) 선생께서는 “마음은 신(神)의 집이 되고 마음이 밝으면 신(神)이 맑고 신이 맑으면 성(性)이 안정된다.”2)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중용》의 주석에서는 “마음의 허령과 지각은 하나일 뿐이다.”3)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허령(虛靈)은 마음의 체(體)가 되고 지각(知覺)은 마음의 용(用)이 됩니다. 그 사람의 지각이 마음의 본체를 움직이고 육체를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형상을 보고 깨달음을 얻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도 여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실은 형상을 보고 깨달음을 얻은 원효대사의 다음 행적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원효대사께서는 수도를 하기 위하여 중국으로 가던 중 깊은 산속에서 하룻밤을 유숙하게 되었다. 그런데 한밤중이 되자 갈증이 심해져 물을 찾았지만, 어둠 속에서 물을 찾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렇게 물을 찾아 헤매던 중 표주박같이 동그란 물체가 손에 잡혀 이를 만져보니까 그 속에 물이 있어 그 물을 모두 마시고 난 후에 비로소 갈증이 해소되어 편히 잠들 수 있었다.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서 간밤에 마신 물이 너무도 꿀맛 같았기에 마신 물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곧바로 소스라치게 놀랐을 뿐만 아니라 어제 마신 물을 모두 토해냈다. 전날 밤에 마신 물은 바로 사람의 골수였기 때문이었다. 간밤에 모르고 마실 때는 골수가 갈증을 해소해줬는데, 그 갈증을 해소해준 물이 골수였다는 사실을 확인한 뒤에는 어제 마신 물을 모두 토해내게 됨을 접하는 순간 변화의 이치를 깨달아 중국으로 가던 발길을 돌려 되돌아왔다.’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인,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불교 용어의 대표적 일화인 이 이야기는 의식과 무의식 상태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명하게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아마도 갈증을 해소해 준 물이 골수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면 깨달음을 얻지 못했을 수도 있겠지요.
인간의 몸을 움직이는 것은 그 사람의 마음이지만 그 마음의 본체를 움직이는 것은 지각(知覺)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1) 孔子曰操則存舍則亡出入無時莫知其鄕。
2) 心爲神舍, 心明則神淸, 神淸則性定。
3) 心之虛靈知覺一而已矣.《中庸》。
![]() |
▲필자 : 허정(虛靜) 이상엽(李相燁) |
필자 : 허정(虛靜) 이상엽(李相燁)
1961년 충북 괴산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이선집(李善集) 자는 상엽(相燁) 호는 현송(玄松) 허정(虛靜) 당호는 오원재(悟元齋)다. 고 남호천(南昊泉) 선생 문하에서 사서(四書)를 수학했고, 고 유석형(劉碩炯) 박사의 심령학 강의 구문지법, 염력개발 등을 수강했으며, 고 명허선사(明虛禪師)에게 역법, 주역, 계사전 및 주역천진 등을 수학했다. 저서로 『명리정의』, 『운명학, 감추어진 진실을 말한다』, 『역법의 역사와 역리학의 바른 이해』가 있다.사단법인 대전 충남 서예전람회 초대작가.사단법인 한국서도협회 초대작가.-SBS, KBS, TJB 등 TV방송사 생방송 및 인터뷰 참여-동아일보, 연합뉴스, 세계일보, 데일리안, 대전매일, 충청투데이 등 다수 신문에 고정칼럼 집필 및 인터뷰 참여現 역리학당 오원재 운영 / 전화: 042-252-2873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23 대우토피아오피스텔 13층 1309호
블로그: https://blog.naver.com/lsjsajuE-mail: leesunjip@hanmail.net
![]() |
▲ '팔자풀이 100문 100답'-이상엽 著 / 상상마당 刊 |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