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학 바로잡기] 동쪽·남쪽이 꽉 막힌 집에 살면 관재구설·가난 못 벗어나-이상엽

안재휘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0 12:06: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도시에서는 풍수지리학을 무시해도 된다.”라고 하는 말은 오류
동쪽, 남쪽에 큰 건물이 있는 곳에 건물을 지으려면 같은 높이로 지어야

 

 

<039> ·남쪽이 막힌 집에는 살지 말라고 하던데? -건물의 높이, 방향, 도로와 하수구 등에 따라 생기(生氣)나 사기(死氣)가 모이는 곳을 구분해야 합니다.

 

: 동쪽과 남쪽이 막힌 집에서 살아서는 안 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정말 그런가요?

 

: 고층 빌딩이 숲을 이룬 도시에서는 풍수지리학을 무시해도 된다.”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산세와 수세에 따라서만 좋은 집터와 나쁜 집터가 형성된다.”라고 하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풍수지리학의 원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오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산세와 수세는 물론 건물의 높이와 방향 등을 고려해 집터의 길흉을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시골에서는 그 터를 중심으로 앞뒤 좌우의 산 높이와 방향 및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방향 등에 따라 지상과 지하의 생기(生氣) 또는 사기(死氣)가 모이는 곳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도시에서는 그 터를 중심으로 앞뒤와 좌우에 들어서 있는 건물의 높이와 방향을 비롯하여 도로와 하수구 등에 따라 지상에서 유행하는 생기(生氣)나 사기(死氣)가 모이는 곳을 구분합니다. 시골에서는 그 주변의 지형_지세를 기준으로 삼고, 도시에서는 그 주변 건물 높이와 도로의 진행 방향, 하수구 등을 기준으로 그 집터의 길흉을 가려낸다는 뜻입니다.

 

산과 들로 형성된 시골에서 동쪽과 남쪽에 높은 산이 가깝게 있으면 나쁜 터로 규정짓듯이 도시에서는 동쪽과 남쪽에 높은 건물이 가깝게 있으면 나쁜 터로 규정짓습니다. 일조량이 부족하여 춥고 지상에서 유행하는 사기(死氣)가 모여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동쪽과 남쪽이 꽉 막혀 답답한 곳에 집을 짓고 살면 관재구설은 물론 가난도 벗어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사실은 무릇 집의 동쪽이나 남쪽에 높은 집이나 큰 정자가 있으면 모두 나쁘다. 그를 제거하면 좋은 것이 된다.(凡宅午巳東巽巳來有高樓大榭皆不利宜去之吉)”라고 한 택경의 내용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동쪽과 남쪽에 큰 건물이 있는 곳에 건물을 지으려면 같은 높이로 건물을 지어야 합니다. 없던 건물이 갑자기 들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같은 높이로 건물을 짓지 못한다면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자 허정(虛靜이상엽(李相燁)

필자 허정(虛靜이상엽(李相燁)

1961년 충북 괴산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이선집(李善集자는 상엽(相燁호는 현송(玄松허정(虛靜당호는 오원재(悟元齋)고 남호천(南昊泉선생 문하에서 사서(四書)를 수학했고고 유석형(劉碩炯박사의 심령학 강의 구문지법염력개발 등을 수강했으며고 명허선사(明虛禪師)에게 역법주역계사전 및 주역천진 등을 수학했다저서로 명리정의운명학감추어진 진실을 말한다역법의 역사와 역리학의 바른 이해가 있다.사단법인 대전 충남 서예전람회 초대작가.사단법인 한국서도협회 초대작가.-SBS, KBS, TJB 등 TV방송사 생방송 및 인터뷰 참여-동아일보연합뉴스세계일보데일리안대전매일충청투데이 등 다수 신문에 고정칼럼 집필 및 인터뷰 참여現 역리학당 오원재 운영 / 전화: 042-252-2873주소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23 대우토피아오피스텔 13층 1309

블로그: https://blog.naver.com/lsjsajuE-mail: leesunjip@hanmail.net

 

 

▲ '팔자풀이 100문 100답'-이상엽 著 / 상상마당 刊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