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제주상 담긴 ‘탐라순력도’, 문화재적 가치 재조명

이선집 기자 / 기사승인 : 2020-11-20 14:59:0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세계유산본부, 11월 20일 온라인 학술세미나 개최… 국보 승격 발판 마련
▲ 18세기 제주상 담긴 ‘탐라순력도’, 문화재적 가치 재조명

18세기 조선시대 지방관의 제주 고을 순력을 그린 국내 유일의 기록화첩인 ‘탐라순력도’의 문화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학술세미나가 오는 11월 20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국립제주박물관 강당에서 개최된다.

‘탐라순력도’는 1702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로 부임한 이형상이 제주도내 각 고을을 순력한 내용과 여러 행사 장면 등을 제주목 소속 화공 김남길에게 41폭의 채색그림으로 그리게 하고 유배인 오시복에게 설명을 쓰게 한 후 만든 기록화첩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와 국립제주박물관이 공동 개최하는 이날 세미나는 보물 제652-6호로 지정된 ‘탐라순력도’의 연구 성과를 재고찰하는 동시에, 국보 승격의 타당성 확보와 공감대 확산을 위해 마련됐다.

총3부로 구성, 제1부에서는 ‘탐라순력도’의 지도학적·역사적 가치를, 제2부에서는 회화사적·건축학적·문화재적 가치를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이뤄진다.

제3부에서는 발표자·토론자 및 관련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종합토론을 통해 ‘탐라순력도’가 지닌 의미와 가치 등을 심층 논의한다.

본 세미나는 오상학 제주대 교수의 ‘‘탐라순력도’의 지도학적 특징과 의의’ 발표를 시작으로 김동전 제주대 교수의 ‘18세기 초 제주 사회와 ‘탐라순력도’의 역사적 가치’ 강영주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의 ‘‘탐라순력도’의 화풍적 특징과 회화사적 가치’ 신석하 제주국제대 교수의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3성 9진의 시설물 고찰’ 이광표 서원대 교수의 ‘‘탐라순력도’의 문화재적 가치와 활용 방향’ 등 5개 주제 발표와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는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유튜브 및 페이스북을 통해 생중계된다.

홍원석 세계유산문화재부장은 “이번 학술세미나를 통해 ‘탐라순력도’의 역사적·학술적·예술적 특징 등을 다각적으로 고찰하고 ‘탐라순력도’가 지닌 보편적인 문화재적 가치를 널리 알려 국보 승격의 발판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