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특산식물 포함 1204종 서식 확인
탐방객 증가로 인한 생태적 훼손 우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추진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최근 국내 주요 풍혈지를 대상으로 한 생물상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곳이 기후변화에 민감한 생물종의 피난처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풍혈지는 여름철에도 지하에서 차가운 공기가 흘러나오는 독특한 지형으로, 희귀·특산식물과 기후민감종이 서식하는 특별한 장소다.
국립수목원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풍혈지 자생종은 총 1204종이며, 이 중 ▲희귀식물 82종(예: 월귤, 흰인가목)▲특산식물 61종(예: 병꽃나무, 백운산원추리)▲북방계 식물 212종(예: 돌단풍, 야광나무)이 포함됐다.
대표적인 풍혈지인 밀양 얼음골은 여름철에도 얼음을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가 20~30도에 이른다.
이곳에는 총 236종의 식물이 조사됐으며, 이 중 꼬리말발도리는 희귀·특산식물로 국가적색목록 취약종(VU)으로 등재돼 보호가 필요하다. 주저리고사리는 기후변화에 민감한 북방계식물로, 풍혈지의 보전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최근 탐방객 증가로 인한 생태적 훼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탐방로 붕괴, 무분별한 출입과 식물 채취로 인해 식물군락이 감소한 사례가 보고됐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훼손을 막기 위해 ▲출입 제한 및 보호구역 설정▲정밀조사 및 모니터링 강화▲생태해설 프로그램 강화 등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생태적 가치가 뛰어난 풍혈지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절차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보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조사와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임영석 국립수목원 원장은 “풍혈지는 이상고온 등의 기후변화에서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는 중요한 생태적 피난처이자 아직 보고되지 않은 생물종들이 서식하고 있는 생물다양성의 보고”라며, “지속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미래세대를 위한 산림자원을 보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풍혈지는 기후위기 시대에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는 중요한 생태적 피난처로, 지속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미래세대를 위한 산림자원을 보전하고,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의 가치를 지켜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