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법과 표현 탁월해 보물로 지정
문화재청은 조선의 영조 재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관북여지도(關北輿地圖)’를 보물 제2061호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유물은 부산 동아대 석당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관북여지도’의 원조는 1719년(숙종 45년) 함경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이삼(1677~1735)의 지시로 제작된 함경도 지도집이다. 조선과 청나라 정계(定界)를 계기로 함경도 지역 방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던 시대상황이 반영됐다. 당시 지도에는 한양으로부터의 거리, 호구수(戶口數), 군사수(軍士數), 역원(驛院·일종의 여관) 등 관련 정보가 상세하게 기록돼 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관북여지도’는 지리적 내용과 표현방식 등을 근거로 볼 때 1738(영조 14년)~1753년(영조 31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총 13개 면으로 이뤄져 있는데 1면의 길주목(吉州牧)을 시작으로 2면 명천부(明川府), 3면 경성부(鏡城府), 4면 부령부(富寧府), 5면 무산부(茂山府), 6면 회령부(會寧府), 7면 종성부(鍾城府), 8면 온성부(隱城府), 9면 경원부(慶源府), 10면 경흥부(慶興府), 11면 함관령(咸關嶺), 12면 마운령(磨雲嶺), 13면 마천령(磨天嶺)으로 이어진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