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대성동고분군서 도굴·훼손 흔적 없는 귀족 무덤 발굴

안진영 기자 / 기사승인 : 2020-06-03 10:58:3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108호 유구 전경
108호 유구 전경

[김해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남 김해시는 사적 제341호 대성동고분군에서 도굴 및 훼손 흔적이 거의 없는 귀족 무덤이 발굴됐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해 대성동고분군박물관은 문화재청 허가와 발굴비를 지원받아 지난해 12월 9일부터 박물관 북동쪽 평지 3천700㎡를 대상으로 학술발굴조사를 진행해왔다.

이번 조사에서는 나무관을 넣어 흙은 덮은 108호 목관(木棺) 묘를 비롯해 나무판으로 공간을 만든 목곽(木槨) 묘와 항아리 형태 토기와 시신을 함께 매장한 옹관(甕棺)묘 등 70여개 무덤이 확인됐다.

또 무덤 내부에서 철기, 청동기, 토기, 칠기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이번에 발굴된 108호 묘 상태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온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108호 청동 유물 통형동기와 청동촉
108호 청동 유물 통형동기와 청동촉

[김해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 측은 "가야 무덤 90%가 일제 강점기부터 도굴됐는데 108호 묘는 유구 어깨선 일부만 훼손되고 내부는 온전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108호 묘는 길이 494㎝, 너비 346㎝, 깊이 60㎝ 정도로 비슷한 시기 목관묘인 대성동 91호에 비해 작은 편이다.

박물관 측은 무덤 축조 시기를 출토된 토기와 철기 등을 참고해 가야 중심 시기인 4세기 초로 추정했다.

무덤에는 당시 실물화폐로 사용된 대형덩이쇠(10×40㎝) 40매와 동근 고리 큰 칼, 화살촉 등 130여점 철기와 토기 17점, 청동 그릇, 옥 장식 목걸이 등 200여점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108호 묘 경우 대성동고분군 내 비슷한 시기 목곽묘 중 중소형 무덤임에도 북방대륙계 유물인 청동 그릇과 왜계 유물인 통형동기, 청동 화살촉 등이 출토된 것은 금관가야 국제적 위상과 교역 활동이 기존 연구보다 활발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108호 모식도
108호 모식도

[김해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 측은 큰 칼 등 무기와 옥으로 된 목걸이가 출토된 것으로 미뤄 무덤 주인을 여성 장군 또는 귀목 무사로 추정했다.

부부를 나란히 한 무덤에 배치했거나 순장자를 배치한 사례가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108호 묘는 가야 무덤에서는 최초로 목곽에 옻칠을 한 칠기 흔적과 내부 문양도 출토됐다.

시 관계자는 "가야 무덤 중 문양이 새겨진 칠기 흔적 발굴로 가야사 연구는 물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기대했다.

시와 박물관은 이날 오전 11시 발굴 현장에서 발굴성과에 대한 학술 자문회의를 시작으로 오후 3시께 발굴 현장을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