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책] 『중앙유럽 왕국사』 -마틴 래디

안재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3 03:02:3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중앙유럽이 어떻게 변화와 통합을 주도해왔는지 탐구한 역작
중앙유럽을 지리적 명칭이 아닌 ‘민족 상호작용의 현장’으로 재정의
제1·2차 세계대전은 이 지역의 다문화적 공존을 파괴
“중앙유럽은 단순히 지리적이 아니라 정치·문화적으로 유럽의 중심”

 

     

서유럽과 러시아 사이에 자리한 중앙유럽의 2000년 역사를 통찰력 있게 조명한 역작 마틴 래디의 신간 중앙유럽 왕국사’(까치)가 출간됐다. 이 책은 단순한 침략과 정복의 기록이 아니라, 다양한 민족과 제국이 교차하며 형성된 복합적 공간으로서의 중앙유럽이 어떻게 변화와 통합을 주도해왔는지 탐구한 역작이다. 저자는 중앙유럽을 지리적 명칭이 아닌 민족 상호작용의 현장으로 재정의하며, 고대 로마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변천하는 정치적·군사적 경계 속에서 이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을 추적한다.

 

중앙유럽의 역사는 고트족, 훈족, 아바르족, 슬라브족, 몽골족, 오스만족 등 수많은 민족의 유입과 융합으로 직조됐다. 4세기부터 시작된 이민족의 침공은 신성 로마 제국의 분열을 초래했고, 1000개가 넘는 소국가들이 각자의 자치를 누리는 다원적 체제를 낳았다. 특히 헝가리와 폴란드는 몽골 침략 이후 독일계 이주민을 적극 수용하며 새로운 질서를 구축했다. 이주민들에게 부여된 자치의 권리는 마을 단위부터 왕국에 이르기까지 의회 형성의 토대가 됐으며, 중세 중앙유럽은 공동체 정부와 공화주의적 실험의 본산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룩셈부르크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강력한 왕조가 등장하면서 아래로부터의 정치는 점차 위로부터의 통치로 대체됐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로마법을 활용해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통치 체계를 확립했으며, 17세기 관방학의 발전은 국가의 국민 통제력을 강화했다. 이는 이후 민족주의와 전체주의의 씨앗이 되기도 했다.

 

중앙유럽은 종교개혁과 민족주의, 클래식 음악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다양한 종파가 공존하는 관용적 분위기가 조성됐고, 그림 형제 같은 학자들은 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하며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한편 빈과 헝가리에서는 음악가가 단순한 배경음악 연주자가 아닌 청중의 경배를 받는 예술가로 격상되며 교향곡의 시대가 열렸다.

 

하지만 1·2차 세계대전은 이 지역의 다문화적 공존을 파괴했다. 베르사유 조약으로 탄생한 신생국들은 단일 민족주의를 추구하며 소수 민족을 억압했고, 20세기 중반 소련 점령기에는 민주화 열망과 정치적 혼란이 교차했다. 오늘날에도 중앙유럽은 정치적 부패와 외부 세력의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저자는 이 지역이 유럽 전체의 평화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슬라브 동유럽학과 교수인 저자 마틴 래디는 합스부르크 제국과 헝가리·루마니아 역사에 대한 다수의 저서를 집필한 중앙유럽사 전문가다. 그는 이 책에서 폴란드, 체코, 우크라이나, 스위스 등 과거 중앙유럽 왕국들의 공통점인 민주주의 전통과 귀족 문화뿐 아니라 인종 청소, 스탈린주의 등 어두운 역사까지 균형 있게 다룬다. 특히 중앙유럽은 단순히 지리적이 아니라 정치·문화적으로 유럽의 중심이라며, 전 세계의 이해관계가 얽힌 현대 사회에서 이 지역의 안정이 갖는 의미를 역설한다.

 

해외에서 출간 직후 월 스트리트 저널은 마틴 래디는 길고 복잡한 과거의 가닥을 능숙하게 풀어내 끔찍한 전쟁터이자 서구 민주주의의 요람으로서의 중앙유럽을 조명한다고 평했고, ‘파이낸셜타임스대중성과 학문적 성취를 갖춘 최고의 책"이라 극찬했다.

 

다만 방대한 시대를 아우르는 만큼, 독자에 따라 일부 장은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책 말미에 약어와 인명 색인이 상세히 수록돼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빠르게 확인하며 읽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각 장마다 핵심 주제를 명확히 분리해 독자가 내용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기에 용이하게 구성돼 있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