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맞춤형 치료·관리로 중증화 예방 목표
2024년부터 전국 확대 계획, 지역사회 협력 강조
치매환자와 가족에게 전문적 지원 제공 기대
보건복지부는 7월 22일부터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을 22개 시군구에서 37개 시군구로 확대하고, 참여 의사도 219명에서 284명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환자에게 ▲환자 포괄평가에 따른 맞춤형 치료·관리 계획 수립(연 1회) ▲치매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대면 교육 및 상담(연 8회 이내, 10분 이상) ▲약 복용이나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한 비대면 관리(연 12회 이내, 전화 또는 화상통화)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 대한 의사의 방문진료(연 4회 이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22개 시군구에서 219명의 의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등록된 환자 수는 4341명이다. 보건복지부는 더 많은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시범사업 참여 기관을 확대하기 위해 공모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2024년도 시범사업 지역에서 의사 16명을 추가하고, 2025년도 시범사업 대상 지역으로 20개 시군구를 새롭게 선정했다. 그러나 5개 시군구의 신청 의사들은 참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최종적으로 15개 시군구와 해당 지역의 참여 요건을 충족한 의사 49명이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신규 시범사업 대상 지역은 서울 관악구와 은평구, 부산 금정구, 대구 수성구, 인천 미추홀구, 대전 대덕구, 울산 중구, 경기 성남시와 화성시, 충북 영동군, 전북 군산시, 경북 김천시, 경남 거제시와 남해군, 제주 서귀포시다.
보건복지부 임을기 노인정책관은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치매 환자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로, 내년에는 시범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치매의 중증화를 예방하고 더 많은 치매 어르신들이 사시던 곳에서 필요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지역 및 의사, 의료기관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시범사업의 확대는 치매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치매의 중증화를 예방하고,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