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출하장려금 확대 및 피해농가 지원책 검토
기후변화로 인한 가격 불안, 일시적 현상 아냐
시민 생활 안정 위해 유통 및 수급 관리 체계 재정비 필요
![]() |
▲김지향 시민권익위원장 |
서울의 한 복잡한 시장 가락시장에서는 최근 폭우와 폭염이 농산물 가격을 하늘 높이 끌어올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복숭아 경봉, 수박, 청양고추의 가격이 각각 63%, 50%, 46% 급등하며 시민들의 장바구니가 무거워진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생산량 감소와 함께 여름철 휴가 수요가 맞물리면서 발생한 것이라 현장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가락시장 주요 농산물 가격 동향>
(상품기준, 원)
구 분 | 금일 (7.28) | 금주 (7.22.~7.28) | 전주 (7.15.~7.21) | 전년 | 평년 | 순증감율 | |||
전주 | 전년 | 평년 | |||||||
수박 | 10kg | 37,564 | 30,990 | 29,066 | 25,001 | 24,779 | 29% | 50% | 52% |
복숭아 경봉 | 10kg | 52,126 | 56,954 | 59,763 | 32,016 | 34,493 | △13% | 63% | 51% |
멜론 머스크 | 8kg | 30,447 | 30,808 | 33,761 | 22,757 | 25,364 | △10% | 34% | 20% |
배추 | 10kg | 12,236 | 9,609 | 12,555 | 11,592 | 11,958 | △3% | 6% | 2% |
청양고추 | 10kg | 79,613 | 60,185 | 103,224 | 54,422 | 38,226 | △23% | 46% | 108% |
쪽파 | 10kg | 75,185 | 61,588 | 55,165 | 68,778 | 55,850 | 36% | 9% | 35% |
백다다기오이 | 100개 | 48,365 | 49,874 | 50,932 | 73,853 | 54,740 | △5% | △35% | △12% |
상추 | 4kg | 41,034 | 34,655 | 24,319 | 56,033 | 54,369 | 69% | △27% | △25% |
(자료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2025.7.29.)
<가락시장 주요 축산물 가격 동향>
(단위 : 원)
구 분 | 금일 (7.28) | 전주 (7.23) | 전전주 (7.16) | 전년 (7.24) | 순증감율 | |||
전주 | 전전주 | 전년 | ||||||
한우 안심(1++) | 100g | 17,200 | 17,200 | 17,200 | 17,200 | 0% | 0% | 0% |
한우 등심(1++) | 100g | 13,600 | 13,600 | 13,600 | 13,700 | 0% | 0% | △0.7% |
국산돼지 삼겹살 | 100g | 2,800 | 2,800 | 2,800 | 2,890 | 0% | 0% | △3.1% |
국산돼지 목살 | 100g | 2,500 | 2,500 | 2,500 | 2,455 | 0% | 0% | 1.8%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발 빠르게 출하장려금을 확대하고 피해농가 지원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검토 중이다.
김지향 시민권익위원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불안은 더 이상 일시적이지 않다"며 서울시와 공사가 보다 능동적인 대처를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런 적극적인 움직임이 시민들의 장바구니 안전에 보탬이 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높다.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이 위기는 잠시 동안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전문가들은 주목하고 있다. 이제 서울시와 관련 기관들이 가락시장 등 유통 현장에서 수급 관리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농가에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조치가 시민들의 생활 안정과 직접 연결될 것이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