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갑과 시민카드 통합으로 49만 명의 사용자 편의 증대
생애주기별 맞춤 정보 제공, QR코드로 간편 가입
블록체인 기반으로 정보 보안 강화, 12월 시민카드 폐기 예정
서울시는 디지털 행정 혁신을 위해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를 통합한 새로운 앱을 10월에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이 통합 앱은 증명서 발급, 복지지원 자격 확인, 도서관 및 체육시설 이용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해 시민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예정이다.
서울지갑은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34종의 증명서를 발급하고, 청년 월세 지원 등 복지서비스 신청 자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앱이다.
또한, 다둥이행복카드와 임산부카드 등 모바일카드 등록 및 사용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부동산 거래 사기 방지를 위한 공인중개사 자격 확인 서비스도 추가됐다. 현재 누적 가입자는 15만 명에 이른다.
서울시민카드는 시립 및 구립 도서관, 체육시설 등 837개 공공시설 이용 시 사용 가능한 모바일 통합회원카드로, 현재 34만 명의 시민이 이용 중이다. 이번 통합 앱은 단순히 기능을 합치는 것을 넘어 시민들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쌍방향 플랫폼으로 발전할 계획이다.
새로운 통합 앱에는 '나의 서울 플러스' 서비스가 추가돼 청소년부터 중장년, 임산부, 다자녀가족 등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한다. 예를 들어, 고등학생에게는 '서울장학재단 장학금', 청년층에게는 '청년월세', '청년문화패스'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회원가입과 인증 절차도 QR코드 스캔만으로 가능해져 편리함이 더해진다.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서비스 확장으로 정보의 불법적 위변조 방지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0월 통합 앱 출시를 앞두고 기존 사용자들의 데이터 이관 절차를 안전하게 진행 중이며, 서울시민카드는 12월 말 폐기 예정이므로 올해 안에 동의 절차를 이행할 것을 당부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의 통합은 시민 일상 속을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디지털 행정의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맞춤형 디지털 행정서비스를 확대해 서울 생활을 한층 더 스마트하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번 통합 앱 출시는 서울시가 디지털 행정의 혁신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시민들의 일상생활을 더욱 스마트하게 만들고, 디지털 행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