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지속적인 관측과 보호활동 강조
무산쇠족제비, 생태계 균형 유지의 핵심 역할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 재조명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무산쇠족제비가 8년 만에 다시 포착됐다. 이 작은 육식 포유류는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영상에 담겨 그 존재를 확인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야생생물 관측 과정 중 무산쇠족제비를 재확인했다고 2025년 6월 26일 밝혔다. 무산쇠족제비는 2017년 7월 1일 처음으로 성체 1마리가 촬영된 이후 이번에 다시 발견됐다.
이번 발견은 국립공원공단 직원이 돌 틈 사이에서 얼굴을 내미는 성체 1마리를 촬영하면서 이루어졌다.
무산쇠족제비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가장 작은 육식 포유류로, 성체의 길이가 12~16cm에 불과하다. 이동이 빨라 카메라에 담기 어려운 이 종은 주로 굴이나 돌 틈, 나무둥치 등 은신할 수 있는 장소에 서식하며, 쥐 등 소형 설치류를 주로 잡아먹고 양서류, 파충류, 곤충 등도 포식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무산쇠족제비는 함경북도 무산에서 최초로 발견돼 이름을 얻었으며,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덕유산, 지리산 등 10곳의 국립공원에 무산쇠족제비가 극소수로 분포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이번 무산쇠족제비의 발견은 지리산 등 국립공원의 생태계가 잘 보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측과 야생생물 보호활동 강화를 통해 국립공원의 생태계 건강성을 더욱 증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발견은 국립공원의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지속적인 관측과 보호활동을 통해 멸종위기종의 생존을 지원하고,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