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른 자족형 생활권 실현 목표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 마련 예정
시민 접근성 높여 지속 가능한 도시 구조 혁신 기대
서울시는 시민들이 도보 30분 내에서 생활 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22일 서울시는 이 프로젝트의 시범사업을 통해 9월까지 기준을 마련하고,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자족형 생활권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팬데믹과 디지털 대전환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주거용도 위주로 형성된 서울의 일상생활 공간을 전면 개편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8개 시범대상지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등이다. 이들 지역은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고려해 선정됐다.
이번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에 초점을 두며,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과 필수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가로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를 바탕으로 오는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공시설은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접근성 분석 기법에 지역별 인구 특성을 반영해 특정 인구집단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인구특성에 맞는 필수시설 확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시민들이 도보로 접근 가능한 생활권을 조성함으로써,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서울의 도시 구조를 혁신적으로 재편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