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요한 혁신안에 국민의힘 주류·친윤 의원 행보 관심
친윤계 중진들 수도권 험지로 지역구 옮길 가능성도 제기
더불어민주당, 촉각 곤두세우며 긴장 관망…‘불똥’ 경계
![]() |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3차 전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의 거침없는 종횡무진 ‘혁신’ 행보가 정치권에 간장을 불러오고 있다. 인요한 혁신위는 1호 혁신안의 열쇠 말로 ‘통합’을 제시하며 이준석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등에 대한 징계 취소를 건의했고, 2호 혁신안 키워드로는 ‘희생’을 앞세워 현역 평가 후 하위 20% 공천 배제, 의원 정수·세비 감축을 제안했다.
인 위원장이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당내 주류를 거론하며 내놓은 인적 쇄신 요구의 파장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인 위원장이 발언한 소위 ‘희생론’의 대상은 당 지도부, 영남 다선, 그리고 친윤(친윤석열)으로 평가받는 국민의힘 의원들이다.
지목된 여당 정치인들이 인 위원장의 강력한 희생 요구에 따라 불출마 또는 수도권 험지 출마 선언을 할 경우 다수의 현역 의원 교체가 현실화할 수 있다. 특히 영남권에서 인 위원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선언이 하나둘 터져 나오면 당 전반에 도미노 효과가 일어날 수 있을 전망이다.
국민의힘의 텃밭으로 여겨지는 영남은 지도부 출신, 다선 의원도 많지만, 당에 대한 안정적 지지세를 노리고 출마를 희망하는 후보들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그동안 선거 때마다 현역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친윤 핵심으로 분류되는 의원 가운데 당의 ‘메가시티 서울’ 구상과 맞물려 이미 수도권 출마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경기 하남에서 출마를 준비 중인 초선 비례 이용 의원은 이번 ‘인요한 쇄신안’에 대해 적극 수용 의사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그는 지난 대선 때 윤석열 당시 대통령 후보의 수행실장을 지냈다.
용산 대통령실 출신 인사들이 대거 총선에 차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친윤계 중진들이 수도권 험지로 지역구를 옮길 가능성도 제기된다. 인 위원장의 인적 쇄신 요구가 대체로 수용된다고 가정했을 때 당의 공천 혁신안까지 겹치면 절반 가까운 현역 교체가 가능할 것으로 관측된다.
일단 혁신위의 2호 안건으로 발표된 ‘현역 평가 후 하위 20% 공천 원천 배제’, ‘의원 정수 10% 감축’ 등 역시 일정 수준의 현역 교체를 상수로 하고 있다. 하위 20% 공천 배제의 경우 이달 초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당무감사 결과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사실상 ‘1차 컷오프’가 되는 셈이다.
인적 쇄신의 또 다른 한 축인 인재 영입 작업도 총선에 뛸 대표선수 교체 과정과 맞물려 갈 수밖에 없는 만큼 ‘현역 교체’ 작업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총선 인재영입위원장에 이철규 전 사무총장을 임명한 국민의힘은 이번 주 초 인재영입위를 정식 출범하고서 영입 물망 인사들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총선기획단을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선거 국면에 돌입한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회가 내놓은 고강도 인적 쇄신안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 혁신안이 수용될 경우 내년 총선 판세가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고, 실현 가능성 등을 따져보고 있다. 아울러 이날부터 활동을 시작한 총선기획단 행보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총선기획단은 첫 회의에서 인재 영입 및 총선 공약 등 주요하게 다룰 선거 전략 범위 등을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여당 혁신위의 '인적 쇄신' 드라이브에 영향을 받아 당내 물밑에 가라앉아 있던 다선(多選) 용퇴론이 재점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공론화될 경우 '중진 2선 후퇴론'이 양당의 총선 앞 혁신 경쟁의 주된 축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앞서 민주당 '김은경 혁신위'는 3선 이상 의원의 동일 지역구 공천을 금지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강한 반발을 우려해 공식 혁신안으로 채택되지 못한 바 있다. 대신 김 위원장의 개인적 권고 형태로 '다선 용퇴'를 제안했다.
다만 동일 지역구 3선 초과 연임 금지를 비롯한 다선 용퇴론이 다시 불거진다 하더라도 큰 힘을 받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실제 김은경 혁신위를 비롯해 이전 장경태 혁신위에서도 흐지부지된 바 있다.
당내에서는 국민의힘 역시 '동일 지역구 3선 초과 연임 금지' 등을 실제로 강제할 순 없을 것으로 보고 굳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당 총선기획단에서도 혁신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논의하겠지만, 일단 여당의 추이를 어느 정도는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